1. 개요
카메룬 공화국은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나라로, 서쪽과 북쪽으로 나이지리아, 북동쪽으로 차드, 동쪽으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쪽으로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남서쪽으로는 기니만의 일부인 비아프라만 및 대서양에 면해 있다. "아프리카의 축소판"으로 불릴 만큼 다양한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해안, 사막, 산악, 열대우림, 사바나 등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지형과 기후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국가이다. 인구는 약 3,100만 명이며 프랑스어와 영어가 공용어이고, 이 외에도 250개 이상의 토착 언어가 사용된다.
카메룬의 역사는 선사 시대 사오 문명과 바카족 수렵 채집민 정착으로 시작하여, 15세기 포르투갈 탐험가들의 도래와 함께 유럽과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19세기 말에는 독일 제국의 식민지(카메룬)가 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프랑스와 영국의 위임 통치령 및 신탁 통치령으로 분할되었다. 1960년 프랑스령 카메룬이 독립하고, 1961년 영국령 남부 카메룬과 통합하여 연방 공화국을 형성하였다. 이후 단일 국가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초대 대통령 아마두 아히조에 이어 폴 비야가 1982년부터 현재까지 장기 집권하고 있다. 카메룬은 독립 이후 비교적 정치적 안정을 유지해왔으나, 영어권 지역의 분리주의 운동(암바조니아)과 보코하람 문제 등으로 인해 심각한 내부 갈등과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정치적으로 카메룬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으로, 폴 비야 대통령과 그가 이끄는 카메룬 인민민주운동(CPDM)이 장기간 정권을 장악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치적 반대 세력에 대한 탄압, 부패, 인권 침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영어권 지역의 소외와 분쟁은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로 이어져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경제적으로 카메룬은 농업과 석유, 목재 등 천연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주요 수출품은 코코아, 커피, 목재, 석유 등이며, 다양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개발은 미진하다. 정부는 경제 다각화와 빈곤 감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회기반시설 부족, 높은 실업률, 외채 문제 등이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카메룬은 250개 이상의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랑스어와 영어 외에도 수많은 토착 언어가 사용된다. 종교는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하나 이슬람교와 전통 신앙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교육열은 아프리카에서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하며, 보건 의료 시스템은 여전히 취약하여 평균 수명이 낮고 영아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주변국으로부터의 난민 유입 문제도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카메룬의 문화는 다양한 민족만큼이나 다채롭다. 전통 음악과 춤이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마코사와 비쿠치와 같은 대중음악 장르가 국제적으로 알려져 있다. 각 지역의 특색 있는 요리와 전통 의상, 목조각을 비롯한 공예품도 유명하다. 축구는 국민 스포츠로, 국가대표팀 '불굴의 사자들'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2. 어원
'카메룬'이라는 국명은 15세기 말 이 지역에 도달한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워리강(Wouri River)에서 카메룬유령새우(Lepidophthalmus turneranus)를 많이 발견하고 이 강을 Rio dos Camarões히우 두스 카마롱이스포르투갈어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 Camarões카마롱이스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어로 "새우들"을 의미하며, 이 이름이 영어식으로 변형되어 'Cameroon'이 되었다. 현재도 포르투갈어에서는 카메룬을 Camarões카마롱이스포르투갈어라고 부른다. 시대에 따라 국호는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 카메룬 공화국 (1960년-1961년)
- 카메룬 연방 공화국 (1961년-1972년)
- 카메룬 연합 공화국 (1972년-1984년)
- 카메룬 공화국 (1984년-현재)
3. 역사
카메룬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명의 흥망성쇠와 유럽 열강의 식민 통치, 그리고 독립 이후의 정치적 변화와 사회적 갈등을 포함한다.
3.1. 초기 역사

카메룬 북서부 지역의 셤 라카(Shum Laka) 암각 유적지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는 약 3만 년 전부터 인간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가장 오래된 지속적인 거주민으로는 바카족과 같은 피그미 민족이 있다. 약 2,000년 전에는 반투족의 대이동이 이 지역에서 시작되어 동부, 남부, 중앙아프리카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차드호 주변에서는 기원후 500년경 사오 문명이 발흥했으며, 이후 카넴-보르누 제국으로 이어졌다. 서부 지역에서는 여러 왕국, 폰돔(fondom), 추장국들이 등장했다.
1472년 포르투갈 항해자들이 해안에 도달했다. 그들은 워리강에서 카메룬유령새우가 풍부한 것을 보고 강 이름을 Rio dos Camarões히우 두스 카마롱이스포르투갈어 (새우의 강)이라고 명명했고, 이것이 영어로 'Cameroon'이 되었다. 이후 수 세기 동안 유럽인들은 해안 지역 주민들과 교역을 정례화했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내륙으로 진출했다.
19세기 초, 풀라니족의 지도자 모디보 아다마는 북부에서 비이슬람교도 및 토착 신앙인들에 대항하여 지하드를 이끌었고 아다마와 토후국을 세웠다. 풀라니족의 군대를 피해 달아난 사람들은 여러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1896년 바뭄 왕국의 술탄 이브라힘 은조야는 바뭄어를 위한 바뭄 문자(Shu Mom)를 창제했다. 이 문자는 오늘날에도 바뭄 문자 기록 보관 프로젝트에 의해 카메룬에서 교육되고 있다.
3.2. 독일 식민 통치

독일은 1868년 함부르크의 뵈르만 회사가 워리강 하구에 창고를 건설하면서 카메룬에 발판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후 구스타프 나흐티갈이 현지 왕 중 한 명과 조약을 맺어 독일 황제를 위해 이 지역을 병합했다. 독일 제국은 1884년 이 영토를 카메룬(Kamerun)이라는 식민지로 선포하고 꾸준히 내륙으로 진출했으며, 원주민들은 이에 저항했다. 독일의 보호 하에 상업 회사들은 현지 행정을 담당했다. 이러한 조차지들은 강제 노동을 이용하여 바나나 농장, 고무 농장, 야자유 농장, 코코아 농장을 운영하여 이익을 얻었다. 심지어 기반 시설 프로젝트도 강제 노동 체제에 의존했으며, 이러한 경제 정책은 다른 식민 강국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1911년, 독일은 제2차 모로코 위기의 대가로 프랑스로부터 국경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카메룬(Neukamerun)을 할양받아 카메룬의 영토는 확장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후 신카메룬은 다시 인접한 프랑스 식민지들의 영역으로 돌아갔다.
3.3. 프랑스와 영국의 분할 통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면서, 카메룬은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고, 1919년(베르사유 조약 규정에 따라 1922년) 프랑스령 카메룬(Cameroun)과 영국령 카메룬(British Cameroons)으로 분할되었다. 프랑스는 카메룬 영토의 5분의 4를, 영국은 5분의 1을 차지했으며, 양국은 1960년과 1961년 각기 독립할 때까지 위임 통치를 시행했다. 프랑스는 카메룬의 경제를 프랑스 경제에 통합시키고, 자본 투자와 숙련 노동자를 통해 기반 시설을 개선했으며, 강제 노동 식민 체제를 수정했다.
영국은 인접한 나이지리아에서 자국령 카메룬을 관리했다. 원주민들은 이로 인해 자신들이 방치된 "식민지의 식민지"가 되었다고 불평했다. 나이지리아 이주 노동자들이 남카메룬으로 몰려들면서 강제 노동은 완전히 사라졌지만, 현지 원주민들은 자신들이 압도당한다고 느끼며 분노했다. 1946년 국제 연맹 위임 통치는 국제 연합 신탁 통치로 전환되었고, 프랑스령 카메룬에서 독립 문제가 시급한 현안이 되었다.
3.4. 독립

제2차 세계 대전 중 카메룬은 샤를 드골의 자유 프랑스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전후 1957년 프랑스령 카메룬은 자치권을 획득했다. 프랑스는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인 카메룬 인민연합(Union des Populations du Cameroun, UPC)을 1955년 7월 13일 불법화했다. 이로 인해 UPC에 의한 장기간의 게릴라 전쟁(바밀레케 전쟁)이 촉발되었고, 루벤 움 니오베, 펠릭스-롤랑 무미에, 에르네스트 우앙디에 등 여러 당 지도자들이 암살당했다. 영국령 카메룬에서는 프랑스령 카메룬과 재통합할 것인지, 아니면 나이지리아에 합류할 것인지가 문제였으며, 영국은 독립이라는 선택지를 배제했다.
아프리카의 해로 불리는 1960년 1월 1일, 프랑스령 카메룬은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 하에 카메룬 공화국으로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1961년 10월 1일, 이전 영국령이었던 남카메룬은 국제 연합 총회의 투표를 통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카메룬 공화국과 합병하여 카메룬 연방 공화국을 형성했다. 이 연방 공화국은 동카메룬과 서카메룬이라는 두 개의 연방 주로 구성되었으며, 각 주는 자체 입법부, 정부, 총리를 두었다. 10월 1일은 현재 통일 기념일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3.5. 독립 이후
독립 이후 카메룬은 여러 대통령의 통치 하에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와 주요 사건들을 겪었다.
3.5.1. 아마두 아히조 시대 (1960년-1982년)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은 UPC와의 계속되는 전쟁을 이용하여 대통령직에 권력을 집중시켰으며, 1971년 UPC가 진압된 이후에도 이러한 경향을 이어갔다. 그의 정당인 카메룬 국민연합(Cameroon National Union, CNU)은 1966년 9월 1일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다. 1972년 5월 20일,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제를 폐지하고 야운데를 수도로 하는 카메룬 연합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날은 현재 카메룬의 국경일이자 공휴일이다. 아히조는 환금 작물과 석유 개발을 우선시하는 계획적 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구했다. 정부는 석유 자금을 사용하여 국가 현금 보유고를 만들고, 농민들에게 지불하며, 주요 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 그러나 아히조가 자격 미달의 측근들을 프로젝트 책임자로 임명하면서 많은 계획이 실패했다. 1975년 5월 20일, 국기가 변경되어 두 개의 별이 제거되고 국가 통일의 상징으로 큰 중앙 별 하나로 대체되었다.
3.5.2. 폴 비야 시대 (1982년-현재)

아마두 아히조는 1982년 11월 4일 사임하고 헌법상의 후계자인 폴 비야에게 권력을 넘겼다. 그러나 아히조는 CNU의 통제권을 유지하며 막후에서 국가를 운영하려 했으나, 비야와 그의 동맹들이 아히조에게 사임을 압박했다. 비야는 초기에 더 민주적인 정부로 나아가려 했으나, 실패한 궁정 경비대 반란은 그를 전임자와 유사한 리더십 스타일로 되돌아가게 만들었다. 1984년 비야 대통령의 대통령령에 의해 국호가 카메룬 연합 공화국에서 다시 카메룬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비야는 1975년부터 총리직을 역임한 바 있다.
1987년 카메룬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자 동물 보호구역이 등재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국제 경제 상황, 가뭄, 석유 가격 하락, 그리고 수년간의 부패, 부실 경영, 정실주의로 인해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 카메룬은 외국의 원조를 받고, 정부 지출을 삭감하며, 산업을 민영화했다. 1990년 12월 다당제 정치가 재도입되면서, 이전 영국령 남카메룬 지역의 압력 단체들은 더 큰 자치권을 요구했고, 남카메룬 국민 평의회는 암바조니아 공화국으로서 완전한 분리 독립을 주장했다. 1992년 카메룬 노동법은 노동자들에게 노동조합 가입 또는 미가입의 자유를 부여했다. 각 직종에는 여러 노동조합이 존재하므로 노동자는 어떤 노동조합에 가입할지 선택할 수 있다.
2006년 6월, 바카시반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에 관한 회담이 해결되었다. 이 회담에는 폴 비야 카메룬 대통령, 당시 나이지리아 대통령 올루세군 오바산조, 당시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이 참여했으며, 그 결과 석유가 풍부한 이 반도가 카메룬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 영토의 북부는 2006년 8월 공식적으로 카메룬 정부에 이양되었고, 반도의 나머지 부분은 2년 후인 2008년 카메룬에 귀속되었다. 이러한 국경 변경은 지역 분리주의 반란을 촉발시켰는데, 많은 바카시 주민들이 카메룬의 통치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무장 세력은 2009년 11월 무기를 내려놓았지만, 일부는 수년간 계속 싸웠다.
2008년 2월, 두알라에서 운송 노동조합 파업이 31개 지방 자치 단체에서 폭력 시위로 격화되면서 카메룬은 15년 만에 최악의 폭력 사태를 경험했다.
3.6. 최근 동향 및 분쟁
2014년 5월, 치복 여학생 납치 사건 이후, 폴 비야 카메룬 대통령과 이드리스 데비 차드 대통령은 보코하람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나이지리아 국경에 군대를 배치했다. 보코하람은 카메룬에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하여, 2014년 12월 공습에서는 민간인 84명을 살해했으나, 2015년 1월 공습에서는 큰 패배를 당했다. 카메룬은 2018년 9월 카메룬 영토 내에서 보코하람에 대한 승리를 선언했다.
2016년 11월부터, 주로 영어 사용 지역인 북서부주와 남서부주의 시위대는 학교와 법원에서 영어 사용을 지속할 것을 요구하는 운동을 벌여왔다. 이 시위의 결과로 사람들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투옥되었다. 2017년, 비야 정부는 이 지역들의 인터넷 접속을 3개월간 차단했다. 9월에는 분리주의자들이 영어권 지역의 독립을 위한 게릴라 전쟁을 시작하여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을 선포했다. 정부는 군사 공세로 대응했고, 반란은 북서부주와 남서부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분리주의 게릴라와 정부군 간의 전투는 계속되고 있다. 2020년에는 수많은 테러 공격(책임자를 밝히지 않음)과 정부의 보복으로 전국적으로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2016년 이후 45만 명 이상이 집을 떠나 피난했다. 이 분쟁은 간접적으로 보코하람 공격의 급증으로 이어졌는데, 카메룬군이 암바조니아 분리주의자들과의 전투에 집중하기 위해 북부에서 대부분 철수했기 때문이다.
2021년 12월, 북부 카메룬에서 무스굼족 어부들과 아랍계 초아족 목축민들 간의 물 접근권을 둘러싼 민족 간 충돌 이후 3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차드로 피난했다.
4. 지리
카메룬은 면적이 47.54 만 km2로 세계에서 53번째로 큰 나라이다. 중앙아프리카의 비아프라만(보니만)에 위치하며, 이는 기니만과 대서양의 일부이다. 카메룬은 북위 1도에서 13도, 동경 8도에서 17도 사이에 놓여 있으며, 대서양의 12해리를 영해로 한다. 관광 안내 책자에서는 카메룬을 "아프리카의 축소판"으로 묘사하는데, 이는 해안, 사막, 산, 열대우림, 사바나 등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기후와 식생을 모두 보여주기 때문이다. 카메룬은 서쪽으로 나이지리아와 대서양, 북동쪽으로 차드, 동쪽으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쪽으로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
4.1. 지형 및 기후

카메룬은 다섯 개의 주요 지리적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지배적인 물리적, 기후적, 식생적 특징으로 구분된다. 해안 평야는 기니만에서 내륙으로 15 km에서 150 km까지 뻗어 있으며 평균 고도는 90 m이다. 극도로 덥고 습하며 건기가 짧은 이 지역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으며, 크로스-사나가-비오코 해안림의 일부로서 지구상에서 가장 습한 곳 중 하나이다.
남부 카메룬 고원은 해안 평야에서 평균 고도 650 m까지 솟아 있다. 적도 열대우림이 이 지역을 지배하지만, 우기와 건기가 번갈아 나타나 해안보다 습도가 낮다. 이 지역은 대서양 적도 해안림 생태 지역의 일부이다.
카메룬산맥으로 알려진 불규칙한 산, 언덕, 고원 사슬은 해안의 카메룬산(해발 4095 m로 카메룬 최고봉)에서부터 북쪽 국경의 차드호(북위 13°05')까지 거의 이어진다. 이 지역은 특히 서부 고원에서 온화한 기후를 보이지만 강수량은 많다. 이곳의 토양은 카메룬에서 가장 비옥한 곳 중 하나이며, 특히 화산인 카메룬산 주변이 그렇다. 이곳의 화산 활동은 화구호를 형성했다. 1986년 8월 21일, 이 호수 중 하나인 니오스호에서 이산화탄소가 분출되어 1,7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이 지역을 카메룬 고원 산림 생태 지역으로 지정했다.
남부 고원은 북쪽으로 초원 지대이자 험준한 아다마와 고원으로 이어진다. 이 지형은 서부 산악 지역에서 뻗어 나와 남북을 가르는 장벽을 형성한다. 평균 고도는 1100 m이며, 평균 기온은 22 °C에서 25 °C 사이이고, 4월에서 10월 사이에 강수량이 많으며 7월과 8월에 최고조에 달한다. 동수단 사바나의 북부 저지대는 아다마와 고원 가장자리에서 차드호까지 이어지며 평균 고도는 300 m에서 350 m이다. 특징적인 식생은 사바나 관목과 풀이다. 이곳은 강수량이 적고 평균 기온이 높은 건조한 지역이다.
4.2. 수계
카메룬에는 네 가지 배수 패턴이 있다. 남부에서는 주요 강으로 은템강, 니옹강, 사나가강, 워리강이 있으며, 이 강들은 남서쪽 또는 서쪽으로 흘러 기니만으로 직접 유입된다. 자강과 카데이강은 남동쪽으로 흘러 콩고강으로 흘러든다. 북부 카메룬에서는 베누에강이 북쪽과 서쪽으로 흘러 니제르강으로 합류한다. 로곤강은 북쪽으로 흘러 차드호로 들어가며, 카메룬은 이 호수를 세 개의 이웃 국가와 공유한다.
4.3. 생태와 야생 동식물

카메룬의 야생 동식물은 그 식물상과 동물상으로 구성된다. 이곳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생물 다양성 집중도를 기록하고 있다. 카메룬의 산림 면적은 2020년 기준 총 육지 면적의 약 43%로, 20,340,480헥타르(ha)에 해당하며, 1990년의 22,500,000헥타르에서 감소했다. 2020년에는 자연 재생림이 20,279,380헥타르, 인공림이 61,100헥타르를 차지했다. 2015년 기준 산림 면적의 약 15%가 보호 구역 내에 있었으며, 보고된 바에 따르면 산림 면적의 100%가 공공 소유 하에 있다.
야생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카메룬에는 국립공원, 동물원, 산림 보호 구역,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 20개 이상의 보호 구역이 있다. 보호 구역은 1932년 식민 행정 하에 북부 지역에 처음 만들어졌다. 처음 설립된 두 개의 보호 구역은 모조고 고코로 보호구역과 베누에 보호구역이었으며, 1934년 3월 24일 와자 보호구역이 그 뒤를 이었다. 보호 구역 면적은 초기에 국가 면적의 약 4%였으나 12%로 증가했으며, 행정부는 육지 면적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카메룬의 풍부한 야생 동식물은 기록된 식물 종 8,260종(고유종 156종 포함), 포유류 409종(고유종 14종 포함), 조류 690종(고유종 8종 포함), 파충류 250종, 양서류 200종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들의 서식지는 열대 저지대, 기니만 연안을 포함하는 남부 지역이다. 해안선을 따라 27.00 만 ha 크기의 맹그로브 숲이 있다. 산지림과 사바나는 국가 북부 지역에 있다. 이러한 종들을 위한 중요한 보호 구역으로는 음밤 제렘 국립공원, 베누에 국립공원, 코룹 국립공원, 타카만다 국립공원,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구역이 있다. 카메룬은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조류와 같은 해양 및 담수 종의 중요한 번식지이다.
5. 정치와 정부
카메룬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으로, 다당제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카메룬 인민민주운동(CPDM)이 장기 집권하고 있다. 현 대통령은 폴 비야로, 1982년부터 집권하고 있다. 카메룬의 정치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삼권 분립을 기반으로 한다.
5.1. 정부 구조

카메룬의 대통령은 선출되며, 정책을 수립하고, 정부 기관을 관리하며, 군대를 지휘하고, 조약을 협상 및 비준하며, 비상사태를 선포할 권한을 갖는다. 대통령은 총리(공식적인 정부 수반으로 간주됨)부터 지방 주지사 및 구청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정부 관리를 임명한다. 대통령은 7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카메룬 독립 이후 현재까지 2명의 대통령이 재임했다.
국민의회는 입법 기능을 담당한다. 의회는 5년 임기로 선출되는 1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1년에 세 차례 회의를 갖는다. 법안은 과반수 투표로 통과된다. 1996년 헌법은 100석 규모의 제2원인 상원 설립을 규정했다. 정부는 전통적인 추장, 폰(fon), 라미도의 권위를 인정하여, 국가법과 충돌하지 않는 한 지역 차원에서 통치하고 분쟁을 해결하도록 한다.
카메룬의 법체계는 대륙법, 보통법, 관습법이 혼합된 형태이다. 명목상으로는 독립되어 있지만, 사법부는 행정부의 법무부 산하에 있다. 대통령은 모든 직급의 판사를 임명한다. 사법부는 공식적으로 재판소, 항소 법원, 대법원으로 나뉜다. 국민의회는 9명으로 구성된 고등 법원의 구성원을 선출하며, 이 법원은 고위 정부 관리가 반역죄나 국가 안보를 해친 혐의로 기소될 경우 재판을 담당한다.
5.2. 정치 문화 및 정당

카메룬은 정부 모든 수준에서 부패가 만연한 것으로 간주된다. 1997년 카메룬은 29개 부처에 반부패국을 설립했지만, 그중 25%만이 운영되었다. 2012년 국제투명성기구는 카메룬을 부패가 가장 적은 국가부터 가장 심한 국가 순으로 176개국 중 144위에 올렸다. 2006년 1월 18일, 비야 대통령은 국가 반부패 감시단의 지휘 하에 반부패 운동을 시작했다. 카메룬에는 세관, 공공 보건 부문, 공공 조달 등 여러 고위험 부패 분야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반부패국에도 불구하고 부패는 더욱 악화되어, 국제투명성기구는 2018년 카메룬을 180개국 중 152위로 평가했다.
폴 비야 대통령의 카메룬 인민민주운동(CPDM)은 1990년 12월까지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 이후 수많은 지역 정치 단체들이 결성되었다. 주요 야당은 사회민주전선(SDF)으로, 주로 영어권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존 프루 은디가 이끌고 있다.
비야 대통령과 그의 정당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계속 승리해왔으나, 경쟁자들은 선거가 불공정했다고 주장한다. 인권 단체들은 정부가 시위를 막고, 회의를 방해하며, 야당 지도자와 언론인들을 체포함으로써 야당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영어 사용자들이 차별을 받고 있으며, 시위는 종종 폭력적인 충돌과 살해로 격화된다. 2017년 비야 대통령은 영어권 지역의 인터넷을 94일간 차단하여, 실리콘 마운틴 스타트업을 포함한 500만 명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혔다.
프리덤 하우스는 카메룬을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 측면에서 "자유롭지 않음"으로 평가한다. 마지막 국회의원 선거는 2020년 2월 9일에 치러졌다.
5.3. 행정 구역
헌법은 카메룬을 10개의 반자치 주로 나누며, 각 주는 선출된 지방 의회의 관리를 받는다. 각 주는 대통령이 임명한 주지사가 이끈다.
이 지도자들은 대통령의 의지를 실행하고, 주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상황을 보고하며, 공무원을 관리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하위 행정 단위의 장들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는다. 주지사들은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선전을 명령하고 군대, 헌병대, 경찰을 동원할 수 있다. 모든 지방 정부 관리는 중앙 정부의 국토행정부 소속 직원이며, 지방 정부 또한 예산의 대부분을 국토행정부로부터 받는다.
주는 58개의 현( départements프랑스어 )으로 세분된다. 이들은 대통령이 임명한 현감( préfets프랑스어 )이 이끈다. 현은 다시 군( arrondissements프랑스어 )으로 나뉘며, 부현감( sous-prefets프랑스어 )이 이끈다. 구(District)는 구청장( chefs de district프랑스어 )이 관리하며, 가장 작은 행정 구역이다.
가장 북쪽에 있는 세 주는 극북부주( Extrême Nord엑스트렘 노르프랑스어 ), 북부주( Nord노르프랑스어 ), 아다마와주( Adamaoua아다마와프랑스어 )이다. 바로 남쪽에는 중앙주( Centre상트르프랑스어 )와 동부주( Est에스트프랑스어 )가 있다. 남부주( Sud쉬드프랑스어 )는 기니만과 남쪽 국경에 위치한다. 카메룬 서부 지역은 4개의 작은 주로 나뉜다: 리토랄주( Littoral리토랄프랑스어 )와 남서부주( Sud-Ouest쉬드-웨스트프랑스어 )는 해안에 있으며, 북서부주( Nord-Ouest노르-웨스트프랑스어 )와 서부주( Ouest웨스트프랑스어 )는 서부 초원지대에 있다.
5.4. 외교 관계

카메룬은 영연방과 프랑코포니(OIF)의 회원국이다.
카메룬의 대외 정책은 주요 동맹국이자 이전 식민 통치국 중 하나인 프랑스의 정책을 긴밀히 따른다. 카메룬은 국방을 프랑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군사비 지출은 다른 정부 부문에 비해 높은 편이다.
폴 비야 대통령은 석유가 풍부한 바카시반도의 소유권을 두고 나이지리아 정부와 수십 년간 충돌해왔다. 카메룬과 나이지리아는 1600 km에 달하는 국경을 공유하며 바카시반도의 주권 문제로 다투어왔다. 1994년 카메룬은 이 분쟁 해결을 위해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양국은 1996년 휴전을 시도했으나, 전투는 수년간 계속되었다. 2002년 ICJ는 1913년 영국-독일 협정이 카메룬에 주권을 부여했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양국의 철수를 요구했으며, 나이지리아의 장기 점령에 대한 카메룬의 보상 요구는 기각했다. 2004년까지 나이지리아는 반도 반환 기한을 지키지 못했다. 2006년 6월 유엔 중재 정상회담에서 나이지리아가 이 지역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으며, 양국 정상은 그린트리 협정에 서명했다. 철수와 통제권 이양은 2006년 8월까지 완료되었다.
2019년 7월, 카메룬을 포함한 37개국의 유엔 대사들은 UNHRC에 중국의 신장 지역 위구르족 처우(신장 재교육营)를 옹호하는 공동 서한에 서명했다.
5.5. 군사

카메룬군(Forces armées camerounaises프랑스어, FAC)은 육군(Armée de Terre프랑스어), 해군(Marine Nationale de la République프랑스어 (MNR), 해병대 포함), 공군(Armée de l'Air du Cameroun프랑스어, AAC), 그리고 헌병대로 구성된다.
군대는 1960년 독립 이후 카메룬의 권위주의 정부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군대는 반란 진압, 민주 개혁을 위한 시위 통제, 2014년부터 보코하람과의 전투, 그리고 2017년에 시작된 영어권 분리주의 운동 처리에 관여해왔다.
5.6. 인권
인권 단체들은 경찰과 군대가 범죄 용의자, 소수 민족, 동성애자, 정치 활동가들을 학대하고 심지어 고문한다고 비난한다. 유엔 수치에 따르면 21,000명 이상이 이웃 나라로 피난했으며, 160,000명이 폭력으로 인해 국내 실향민이 되었고, 많은 이들이 숲에 숨어 지낸다고 보고된다. 교도소는 과밀하며 적절한 음식과 의료 시설 접근이 거의 불가능하고, 북부의 전통 통치자들이 운영하는 교도소는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정치적 반대자들을 구금하는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첫 10년 이후, 부적절한 행위로 기소되는 경찰과 헌병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8년 7월 25일, 유엔 인권 고등 판무관 제이드 라드 알 후세인은 카메룬의 영어권 북서부주와 남서부주에서 심각한 권리 침해 및 학대 보고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OCHA에 따르면, 북서부주와 남서부주에서 170만 명 이상이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OCHA는 또한 이 두 지역에서 폭력으로 인해 최소 628,000명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으며, 87,000명 이상이 나이지리아로 피신한 것으로 추정한다.
동성 간 성행위는 형법 제347-1조에 의해 금지되며, 6개월에서 최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
2020년 12월 이후, 휴먼 라이츠 워치는 이슬람 무장 단체 보코하람이 카메룬 극북부주의 마을과 촌락에서 공격을 강화하여 최소 80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6. 경제
카메룬의 경제는 농업과 석유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삼림 자원도 풍부하다.
6.1. 경제 구조 및 정책

카메룬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PPP)은 2017년 기준 약 3700 USD로 추정되었다. 주요 수출 시장으로는 네덜란드, 프랑스, 중국, 벨기에, 이탈리아, 알제리, 말레이시아 등이 있다.
카메룬의 GDP는 연평균 4% 성장해왔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공공 부채는 GDP의 60% 이상에서 10%로 감소했고, 공식 보유고는 4배 증가하여 30.00 억 USD를 넘어섰다.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 국가 은행(그중 카메룬이 지배적 경제 주체임), 중앙아프리카 경제 관세 동맹(UDEAC),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다. 통화는 중앙아프리카 CFA 프랑이다.
2019년 실업률은 3.38%로 추정되었으며, 2014년 인구의 23.8%가 하루 1.9 USD의 국제 빈곤선 이하로 생활하고 있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카메룬은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이 제안한 빈곤 감소, 산업 민영화, 경제 성장 증대 프로그램을 따르고 있다. 정부는 국내 관광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
2024년 세계 혁신 지수에서 카메룬은 123위를 차지했다.
6.2. 주요 산업
카메룬 경제를 구성하는 주요 산업 부문의 특징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6.2.1. 농업, 임업, 어업

인구의 약 70%가 농업에 종사하며, 2017년 농업은 GDP의 약 16.7%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농업은 현지 농민들이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급자족 규모로 이루어진다. 그들은 잉여 농산물을 판매하고 일부는 상업용으로 별도의 밭을 유지한다. 도시 중심지는 특히 식량 공급을 농민 농업에 의존한다. 해안의 토양과 기후는 바나나, 코코아, 기름야자, 고무, 차의 광범위한 상업적 재배를 장려한다. 남부 카메룬 고원 내륙에서는 커피, 설탕, 담배와 같은 환금 작물이 재배된다. 커피는 서부 고지대의 주요 환금 작물이며, 북부에서는 목화, 땅콩, 쌀과 같은 작물에 자연 조건이 유리하다. 공정무역 면화 생산은 2004년 카메룬에서 시작되었다.
가축은 전국적으로 사육된다. 어업은 5,000명을 고용하고 매년 10만 톤 이상의 해산물을 공급한다. 오랫동안 카메룬 농촌 주민들의 주식이었던 부시미트는 오늘날 도시 중심지에서 진미로 여겨진다. 상업적인 부시미트 거래는 현재 카메룬 야생 동물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서 삼림 벌채를 능가했다.
남부 열대우림에는 광대한 목재 매장량이 있으며, 카메룬 전체 육지 면적의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숲의 넓은 지역은 접근하기 어렵다. 주로 외국 소유 기업이 처리하는 벌목은 정부에 연간 6000.00 만 USD (1998년 기준)의 세수를 제공하며, 법률은 목재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의무화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카메룬에서 가장 규제가 적은 산업 중 하나이다.
6.2.2. 광업 및 제조업
공장 기반 산업은 2017년 GDP의 약 26.5%를 차지했다. 카메룬 산업력의 75% 이상이 두알라와 보나베리에 위치한다. 카메룬은 상당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광범위하게 채굴되지는 않는다(카메룬의 광업 참조). 석유 개발은 1986년 이후 감소했지만, 여전히 중요한 부문이어서 가격 하락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급류와 폭포가 남부 강을 가로막지만, 이러한 지점들은 수력 발전 개발 기회를 제공하며 카메룬 에너지의 대부분을 공급한다. 사나가강은 에데아에 위치한 가장 큰 수력 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카메룬 에너지의 나머지는 석유 화력 발전기에서 나온다. 국가의 많은 지역이 여전히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6.2.3. 관광업
카메룬은 "아프리카의 축소판"으로 불릴 만큼 다양한 자연경관(해변, 사막, 산, 열대우림, 사바나)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 잠재력이 크다. 주요 관광지로는 카메룬산 등반, 와자 국립공원과 같은 야생 동물 보호 구역, 크리비와 림베의 해변, 바푸삼과 바멘다 주변의 전통 추장 왕국 등이 있다. 정부는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기반 시설 부족, 정치적 불안정, 안전 문제 등이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문화 체험과 자연 탐험을 원하는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여겨진다.
6.3. 기반 시설
카메룬의 교통, 에너지, 통신 등 주요 사회경제적 기반 시설의 현황과 발전 계획은 다음과 같다.
6.3.1. 교통

카메룬의 교통은 종종 어렵다. 도로의 6.6%만이 포장되어 있다. 도로 차단은 종종 여행자들로부터 경찰과 헌병이 뇌물을 징수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목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도로 강도 행위는 오랫동안 동부 및 서부 국경을 따라 운송을 방해해 왔으며, 2005년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더욱 불안정해지면서 동부에서 문제가 심화되었다.
여러 민간 회사가 운영하는 시외버스 서비스가 모든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이는 철도 서비스인 캠레일(Camrail) 다음으로 가장 인기 있는 교통수단이다. 철도 서비스는 서쪽의 쿰바에서 동쪽의 벨라보까지, 그리고 북쪽으로 응가운데레까지 운행된다. 국제공항은 두알라와 야운데에 있으며, 세 번째 공항이 마루아에 건설 중이다. 두알라는 국가의 주요 항구이며, 크리비 심해항은 2014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북쪽에서는 베누에강이 가루아에서 나이지리아로 계절에 따라 항해 가능하다.
아프리카 횡단 자동차 도로 세 개가 카메룬을 통과한다:
- 라고스-몸바사 고속도로
- 트리폴리-케이프타운 고속도로
- 다카르-은자메나 고속도로
6.3.2. 에너지
카메룬 에너지의 대부분은 수력 발전에서 나오며, 나머지는 석유 화력 발전이다. 남부 강의 급류와 폭포는 수력 발전 개발 기회를 제공하며, 사나가강의 에데아에 위치한 발전소가 가장 큰 규모이다. 그러나 국가의 많은 지역은 여전히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 지역의 전력 공급률은 매우 낮다(약 14%). 정부는 전력 생산량을 늘리고 전력망을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자금 조달과 기술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6.3.3. 통신
언론의 자유는 21세기 첫 10년 이후 개선되었지만, 언론은 부패하고 특수 이익 집단과 정치 단체에 종속되어 있다. 신문들은 정부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자체 검열을 한다. 주요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은 국영이며, 유선 전화 및 전신과 같은 다른 통신은 대부분 정부 통제하에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망과 인터넷 공급자는 21세기 첫 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으며 대부분 규제되지 않는다. 2017년 영어권 지역의 인터넷 차단 사태는 정부의 통신 통제와 표현의 자유 억압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7. 인구
카메룬의 인구 통계, 민족 구성, 언어, 종교, 교육, 보건 등 사회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7.1. 인구 통계
2023년 유엔 추산 카메룬의 인구는 약 3,100만 명이었다. 기대수명은 62.3세(남성 60.6세, 여성 64세)였다.
카메룬은 여성(50.5%)이 남성(49.5%)보다 약간 많다. 인구의 60% 이상이 25세 미만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3.11%에 불과하다.
카메룬의 인구는 도시와 농촌 거주자 간에 거의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인구 밀도는 대도시 중심지, 서부 고원, 북동부 평야에서 가장 높다. 두알라, 야운데, 가루아가 가장 큰 도시이다. 반대로 아다마와 고원, 남동부 베누에강 저지대, 남부 카메룬 고원의 대부분은 인구가 희박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3년 출산율은 4.8명이었고 인구 성장률은 2.56%였다.
인구가 과밀한 서부 고원과 개발이 덜 된 북부 지역의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 해안 농장 지대와 도시 중심지로 이동하고 있다. 남부와 동부의 제재소와 농장에서 일자리를 찾는 소규모 이동도 발생하고 있다. 전국적인 성비는 비교적 균등하지만, 이러한 이주자들은 주로 남성이어서 일부 지역에서는 불균형한 성비를 초래한다.
단혼제와 일부다처제가 모두 시행되며, 평균적인 카메룬 가족은 대가족 형태이다. 북부에서는 여성이 가사를 돌보고 남성이 소를 치거나 농부로 일한다. 남부에서는 여성이 가족의 식량을 재배하고 남성이 고기를 공급하고 환금 작물을 재배한다. 카메룬 사회는 남성 중심적이며,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이 일반적이다.
도시 | 주 | 인구 (2005년 인구 조사 기준) |
---|---|---|
두알라 | 리토랄주 | 1,906,962 |
야운데 | 중앙주 | 1,817,524 |
바푸삼 | 서부주 | 800,000 |
바멘다 | 북서부주 | 269,530 |
가루아 | 북부주 | 235,996 |
마루아 | 극북부주 | 201,371 |
응가운데레 | 아다마와주 | 152,698 |
쿰바 | 남서부주 | 144,268 |
은콩삼바 | 리토랄주 | 104,050 |
부에아 | 남서부주 | 90,090 |
7.2. 민족

카메룬에는 230개에서 282개 사이의 서로 다른 민족 및 언어 집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다마와 고원은 이들을 북부와 남부로 크게 나눈다. 북부 민족은 중앙 고원과 북부 저지대에 거주하는 수단계 집단과 북부 카메룬 전역에 퍼져 있는 풀라니족이다. 소수의 슈와 아랍인이 차드호 근처에 산다. 남부 카메룬에는 반투어 및 준반투어 사용자들이 거주한다. 반투어 사용 집단은 해안 및 적도 지대에 거주하며, 준반투어 사용자들은 서부 초원지대에 산다. 약 5,000명의 그옐레(Gyele)족과 바카(Baka) 피그미 민족이 남동부 및 해안 열대우림을 떠돌거나 작은 길가 정착촌에 산다. 나이지리아인들이 외국인 중 가장 큰 집단을 이룬다. 주요 민족으로는 남부와 서부의 반투족 계열인 팡족, 바밀레케족, 바카족 등이 있으며, 북부에는 수단어족 계열의 둘족, 풀라니족 등이 거주한다.
7.3. 언어

프랑스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며, 카메룬 대통령실의 공식적인 프랑스어 및 영어 사용자는 각각 70%와 30%로 추정된다. 원래 식민 지배자들의 언어였던 독일어는 오래전에 프랑스어와 영어로 대체되었다. 카메룬 피진 영어는 과거 영국령이었던 지역에서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다. 영어, 프랑스어, 피진어가 혼합된 캄프랑글레는 1970년대 중반부터 도시 중심부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식민지 언어 외에도 거의 2천만 명의 카메룬인이 사용하는 약 250개의 다른 언어가 있어 카메룬은 세계에서 언어적으로 가장 다양한 국가 중 하나이다.
2017년, 영어권 주민들은 프랑스어 사용자에 의한 억압으로 인식되는 것에 대한 언어 시위를 벌였다. 군대가 시위대에 투입되어 사람들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투옥되었으며, 수천 명이 나라를 떠났다. 이는 독립된 암바조니아 공화국 선언으로 이어졌고, 이후 앵글로폰 위기로 발전했다. 2020년 6월까지 이 위기로 인해 74만 명이 국내 실향민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7.4. 종교
2022년 CIA 월드 팩트북 추산에 따르면, 카메룬의 종교 구성은 가톨릭 33.1%, 개신교 27.1%, 이슬람교 30.6%, 종교 없음 1.2%, 민간 신앙 1.3%, 기타 종교(기독교의 다른 분파 포함) 6.7%이다.
카메룬은 높은 수준의 종교적 자유와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다수 종교는 기독교로, 인구의 약 3분의 2가 신자이며, 이슬람교는 소수 종교이지만 인구의 약 4분의 1이 신자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전통 신앙을 따른다. 무슬림은 북부에 가장 집중되어 있고, 기독교인은 주로 남부와 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두 종교의 신자는 전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도시에는 두 집단의 상당수 인구가 거주한다. 카메룬의 무슬림은 수피파, 살라피파, 시아파, 그리고 무종파 무슬림으로 나뉜다.

과거 영국령 카메룬의 일부였던 북서부주와 남서부주 출신 사람들은 개신교 신자 비율이 가장 높다. 남부와 서부 지역의 프랑스어권 지역은 주로 가톨릭 신자이다. 남부 민족 집단은 주로 기독교 또는 전통 아프리카 애니미즘 신앙, 또는 이 둘의 혼합된 형태를 따른다. 사람들은 주술을 널리 믿으며, 정부는 이러한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한다. 주술사로 의심되는 사람들은 종종 폭력에 시달린다. 이슬람 지하디스트 단체인 안사르 알이슬람이 북부 카메룬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북부 지역에서는 현지 지배 민족인 풀라니족이 거의 전부 무슬림이지만, 전체 인구는 무슬림, 기독교인, 토착 종교 신자(풀라니족이 "키르디(이교도)"라고 부름)로 상당히 균등하게 나뉜다. 서부주의 바뭄족은 주로 무슬림이다. 토착 전통 종교는 전국 농촌 지역에서 행해지지만, 많은 토착 종교 집단이 본질적으로 지역적이기 때문에 도시에서는 공개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드물다.
7.5. 교육

2013년 카메룬의 총 성인 문해율은 71.3%로 추정되었다. 15-24세 청소년의 문해율은 남성 85.4%, 여성 76.4%였다. 대부분의 어린이는 사립 및 종교 시설보다 저렴한 국영 학교에 다닐 수 있다. 교육 시스템은 영국과 프랑스의 선례가 혼합된 형태로, 대부분의 수업은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진행된다.
카메룬은 아프리카에서 학교 출석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여아는 문화적 태도, 가사 의무, 조혼, 임신, 성희롱 때문에 남아보다 학교에 덜 규칙적으로 다닌다. 남부 지역의 출석률이 더 높지만, 불균형적으로 많은 교사가 그곳에 배치되어 북부 학교는 만성적으로 인력이 부족하다. 2013년 초등학교 취학률은 93.5%였다.
카메룬의 학교 출석률은 아동 노동의 영향도 받는다. 실제로 미국 노동부의 최악의 아동 노동 형태에 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5-14세 아동의 56%가 일하는 아동이었고, 7-14세 아동의 거의 53%가 일과 학업을 병행했다. 2014년 12월, 국제 노동 문제국이 발표한 아동 노동 또는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상품 목록에는 카메룬이 코코아 생산에 아동 노동을 이용하는 국가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
7.6. 보건
보건 의료의 질은 일반적으로 낮다. 2012년 출생 시 기대수명은 56세로 추정되며, 건강 수명은 48세로 예상된다. 카메룬의 출산율은 여성 1인당 평균 4.8명으로 여전히 높으며, 첫 출산 시 산모의 평균 연령은 19.7세이다. WHO에 따르면 카메룬에는 인구 5,000명당 의사가 단 한 명뿐이다. 2014년에는 총 GDP 지출의 4.1%만이 의료에 할당되었다. 의료 시스템의 재정 삭감으로 인해 전문 인력이 거의 없다. 카메룬에서 훈련받은 의사와 간호사들은 보수가 적고 업무량이 많아 이민을 간다. 간호사들은 도움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업 상태이다. 일부는 기술을 잃지 않기 위해 자발적으로 돕기도 한다. 주요 도시를 제외하고는 시설이 종종 더럽고 장비가 열악하다.
2012년 사망 원인 상위 3개 질병은 HIV/AIDS, 하기도 감염, 설사병이었다. 풍토병으로는 뎅기열, 사상충증, 리슈만편모충증, 말라리아, 수막염, 주혈흡충증, 수면병 등이 있다. 2016년 15-49세 인구의 HIV/AIDS 유병률은 3.8%로 추정되었으나, 질병에 대한 강한 낙인 때문에 보고된 사례 수는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2016년 14세 미만 아동 46,000명이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카메룬에서는 HIV 감염자의 58%가 자신의 상태를 알고 있으며, 단 37%만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RV)를 받고 있다. 2016년 성인과 아동 모두 29,000명이 AIDS로 사망했다.
카메룬에서 널리 퍼져 있는 전통 관습인 유방 다림질은 소녀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성 성기 절제(FGM)는 널리 퍼져 있지는 않지만 일부 인구 집단에서 행해진다. 2013년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카메룬 여성의 1%가 FGM을 경험했다. 또한 여성과 소녀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피임 보급률은 2014년 기준 34.4%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 치료사들은 여전히 근거 중심 의학의 대안으로 인기가 있다.
2024년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카메룬은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 127개국 중 79위를 차지했다. 카메룬의 GHI 점수는 18.3으로, 보통 수준으로 간주된다.
7.7. 난민 문제
2007년 카메룬은 약 97,400명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를 수용했다. 이 중 49,300명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출신(많은 수가 전쟁으로 서쪽으로 밀려남), 41,600명은 차드 출신, 2,900명은 나이지리아 출신이었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匪徒들에 의한 카메룬 시민 납치는 2005년 이후 증가했다.
2014년 첫 몇 달 동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폭력을 피해 수천 명의 난민이 카메룬에 도착했다. 2014년 6월 4일, 얼러트넷은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인용문|12월 이후 거의 9만 명이 이웃 카메룬으로 피신했으며, 매주 최대 2,000명(주로 여성과 어린이)이 여전히 국경을 넘고 있다고 유엔은 밝혔다.
"여성과 어린이들은 몇 주, 때로는 몇 달 동안 길 위에서 음식을 찾아 헤매다 충격적인 상태로 카메룬에 도착하고 있습니다."라고 에르타린 커즌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이 말했다.}}
8. 문화
카메룬의 문화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전통과 현대적 요소가 혼합되어 나타난다. 음악, 춤, 요리, 예술, 스포츠 등 여러 분야에서 독특한 특색을 보인다.
8.1. 음악과 춤

음악과 춤은 카메룬의 의식, 축제, 사교 모임, 이야기 전달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전통 춤은 고도로 안무되어 있으며 남성과 여성을 분리하거나 한 성별의 참여를 완전히 금지하기도 한다. 춤의 목적은 순수한 오락에서부터 종교적 헌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전통적으로 음악은 구전으로 전승된다. 일반적인 공연에서는 가수 합창단이 독창자를 따라 부른다.
음악 반주는 손뼉 치기와 발 구르기처럼 간단할 수도 있지만, 전통 악기로는 무용수들이 착용하는 방울, 딱따기, 북, 토킹 드럼, 플루트, 호른, 딸랑이, 긁개, 현악기, 휘슬, 실로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악기들의 조합은 민족 집단과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일부 연주자들은 하프와 유사한 악기 반주에 맞춰 혼자서 완전한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대중음악 스타일로는 해안 지역의 암바세 베이(ambasse bey), 바사족(Bassa)의 아시코(assiko), 방강테족(Bangangte)의 망감뵈(mangambeu), 바밀레케족(Bamileke)의 차마시(tsamassi) 등이 있다. 나이지리아 음악은 영어권 카메룬 연주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린스 니코 음바르가의 하이라이프 히트곡 "Sweet Mother"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아프리카 음반이다.
가장 인기 있는 두 가지 음악 스타일은 마코사(makossa)와 비쿠치(bikutsi)이다. 마코사는 두알라에서 발전했으며 민속 음악, 하이라이프, 솔, 콩고 음악을 혼합한다. 마누 디방고, 프란시스 베베이, 모니 빌레, 프티-페이와 같은 연주자들이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 스타일을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했다. 비쿠치는 에원도족(Ewondo) 사이에서 전쟁 음악으로 시작되었다. 안-마리 은지에와 같은 예술가들이 1940년대부터 이를 대중적인 댄스 음악으로 발전시켰고, 마마 오한자와 레 테트 브륄레와 같은 연주자들이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에 국제적으로 이를 대중화했다.
8.2. 요리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저녁에 푸짐한 단일 코스 식사가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요리는 코코얌, 옥수수, 카사바(마니옥), 수수, 플랜틴, 감자, 쌀, 또는 얌을 기본으로 하며, 종종 반죽 같은 푸푸로 빻는다. 이는 채소, 땅콩, 팜유,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든 소스, 수프 또는 스튜와 함께 제공된다. 고기와 생선은 인기 있지만 비싼 추가 메뉴이며, 닭고기는 종종 특별한 경우를 위해 준비된다. 요리는 종종 매우 맵고, 조미료로는 소금, 고추 소스, 마기 등이 사용된다.
식기는 일반적이지만, 전통적으로 음식은 오른손으로 다룬다. 아침 식사는 빵과 과일의 남은 음식과 커피 또는 차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는 퍼프-퍼프(도넛), 바나나와 밀가루로 만든 아크라 바나나, 콩 케이크 등 다양한 음식에 밀가루를 사용하여 만든다. 간식은 특히 길거리 상인에게서 살 수 있는 대도시에서 인기가 있다.
8.3. 패션

카메룬의 비교적 크고 다양한 인구는 패션 또한 다양하다. 기후, 종교적, 민족적, 문화적 신념, 그리고 식민주의, 제국주의, 세계화의 영향은 모두 현대 카메룬 복장의 요인이다. 주목할 만한 카메룬 복장으로는 카메룬 여성이 착용하는 사롱인 파뉴(Pagnes), 전통 모자인 체치아(Chechia), 남성용 핸드백인 콰(kwa), 남성 맞춤 복장인 간두라(Gandura) 등이 있다.
포장지와 샅바는 여성과 남성 모두 광범위하게 사용하지만, 그 사용법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북부에서는 풀라니족 스타일의 영향이 더 많이 나타나고, 남부와 서부에서는 이보족과 요루바족 스타일이 더 자주 나타난다. 이만 아이시는 카메룬에서 가장 저명한 패션 디자이너 중 한 명이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8.4. 예술과 공예

전통 예술과 공예는 상업적, 장식적, 종교적 목적으로 전국적으로 행해진다. 특히 목조각과 조각품이 흔하다. 서부 고원의 고품질 점토는 도자기와 세라믹에 사용된다. 다른 공예품으로는 바구니 짜기, 구슬 공예, 놋쇠 및 청동 작업, 박 조각 및 그림, 자수, 가죽 작업 등이 있다. 전통 주택 양식은 현지 재료를 사용하며, 유목민인 음보로로족의 임시 목재 및 나뭇잎 오두막에서부터 남부 민족의 직사각형 진흙 및 초가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시멘트와 양철과 같은 재료로 만든 주택이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현대 미술은 주로 독립 문화 단체(두알라르, 아프리크레아)와 예술가 주도 이니셔티브(아트 워시, 아틀리에 바이킹, 아트베이커리)에 의해 홍보된다.
8.5. 문학
카메룬 문학은 유럽과 아프리카 양쪽의 주제에 집중해 왔다. 루이-마리 푸카와 산키에 마이모와 같은 식민지 시대 작가들은 유럽 선교회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카메룬을 현대 세계로 이끌기 위해 유럽 문화로의 동화를 주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몽고 베티와 페르디낭 오요노와 같은 작가들은 식민주의를 분석하고 비판했으며 동화를 거부했다. 독립 직후, 장-폴 응가사와 테레즈 시타-벨라와 같은 영화 제작자들도 비슷한 주제를 탐구했다. 1960년대에는 몽고 베티, 페르디낭 레오폴 오요노 및 기타 작가들이 탈식민주의, 아프리카 발전 문제, 아프리카 정체성 회복을 탐구했다. 1970년대 중반, 장-피에르 디콩게 피파와 다니엘 캄와와 같은 영화 제작자들은 전통 사회와 탈식민 사회 간의 갈등을 다루었다. 이후 20년 동안 문학과 영화는 전적으로 카메룬적인 주제에 더 집중했다.
8.6. 영화
카메룬 영화 산업은 초기 독립 이후 서서히 발전해왔다. 장-폴 응가사, 테레즈 시타-벨라와 같은 선구적인 감독들은 식민주의 비판과 아프리카 정체성 탐구와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1970년대에는 장-피에르 디콩게 피파와 다니엘 캄와 등이 전통과 현대 사회의 갈등을 영화에 담아냈다. 이후 카메룬 영화는 국내적 주제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국제 영화제 참여 등을 통해 점차 국제적으로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자금 부족과 배급 문제 등은 여전히 카메룬 영화 산업 발전의 어려움으로 남아 있다.
8.7. 스포츠

국가 정책은 모든 형태의 스포츠를 강력히 지지한다. 전통 스포츠로는 카누 경주와 레슬링이 있으며, 매년 수백 명의 주자가 40 km 카메룬산 희망의 경주에 참가한다. 카메룬은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열대 국가 중 하나이다.
카메룬의 스포츠는 축구가 지배한다. 아마추어 축구 클럽은 민족 계열이나 기업 후원 하에 조직되어 풍부하다. 국가대표팀은 1982년과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인 이래 아프리카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가 되었다. 카메룬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5번 우승했고, 2000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카메룬은 2016년 11월-12월 여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국이었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불굴의 암사자들"로 알려져 있으며, 남자 대표팀과 마찬가지로 국제 무대에서 성공적이지만, 아직 주요 대회 우승은 없다.
크리켓 또한 카메룬 크리켓 연맹이 국제 경기에 참가하면서 신흥 스포츠로 카메룬에 진출했다. 카메룬은 파스칼 시아캄, 조엘 엠비드, D. J. 스트로베리, 루벤 붐제-붐제, 크리스티앙 콜로코, 뤽 음바 아 무테 등 다수의 NBA 선수를 배출했다. 전 UFC 헤비급 챔피언인 프란시스 은가누는 카메룬 출신이다.
8.8. 미디어
카메룬의 미디어 환경은 국영 방송국이 주요 역할을 하며,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이 존재한다. 언론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되지만, 실제로는 정부의 영향력과 통제가 상당하며, 특히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자체 검열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카메룬 라디오 텔레비전(CRTV)이 국영 방송사로서 전국적인 방송망을 갖추고 있다. 민영 방송국과 신문사도 다수 운영되고 있으나, 재정적 어려움과 정부의 압력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 사용은 점차 확산되고 있으나, 인프라 부족과 높은 비용으로 인해 보급률은 아직 낮은 편이다. 2017년 영어권 지역의 인터넷 차단 사태는 언론 자유와 정보 접근권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았다. 국경 없는 기자회 등 국제 언론 단체들은 카메룬의 언론 자유 수준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8.9. 공휴일
카메룬의 애국심과 가장 관련된 주목할 만한 공휴일은 국경일로, 통일 기념일이라고도 불린다. 가장 주목할 만한 종교 공휴일로는 성모 승천일과 승천일이 있으며, 승천일은 일반적으로 부활절 후 39일째 되는 날이다. 암바조니아라고 통칭되는 북서부주와 남서부주에서는 10월 1일을 국경일로 여기며, 암바조니아인들은 이 날을 카메룬으로부터 독립한 날로 간주한다. 이 외에도 새해 첫날(1월 1일), 청년의 날(2월 11일), 노동절(5월 1일), 크리스마스(12월 25일) 등이 주요 공휴일이다. 이드 알피트르와 이드 알아드하와 같은 이슬람교 공휴일도 지켜진다. 이러한 공휴일에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축제가 열린다.